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상지대학교 대학입학

top
상상하는 모든것을 이룰 수 있는 대학

학생의 내일을 열어주는 상지대학교​

상지대학교 이미지
※ 본 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보건의료대학

교학지원팀
T. 033-738-7651

  • 중부권 HUB 간호대학, PRIME+ 간호인재를 양성하는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간호학과

    전공상담


    전공상담 교수, 연락처, 메일주소 정보제공
    상담교수 연락처 메일
    이꽃메 033-738-7621 yime@sangji.ac.kr

    학과 성과

    • 간호사 국가고시 100% 합격 및 높은 취업률 유지
    • SUNRISE Center 구축을 통한 첨단 시뮬레이션교육과 교내실습 교육
    • 우수한 임상실습기관(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인하대병원, 원주의료원 등)에서의 실습을 통한 수준 높은 교육과 취업 연계
    • 전공과목별 최고의 교수진 확보

    학생 활동

    • 간호학과 학생회, 동아리 RCY, 동아리 RON 등을 통하여 활발한 학생 활동

    학과소개

    상지대학교 간호학과는 2006년 개설 이후 간호학 이론과 실습이 연계된 교육을 통하여 핵심간호능력이 강화된 간호전문인력을 배출하기 위하여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2008년과 2012년 연이어 특성화 학과로 선정되어 각각 응급 및 위기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PRIME (Professional competency, Rationale, Integration, Model, Empathy) 간호 인재 양성을 위하여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2023년 새로운 10년을 준비하면서“PRIME+(Plus) 간호인재”라는 비전하에 학과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재수립하고 전공교과과정을 개편하였으며, 통섭적 지식, 소통역량, 전문직관과 윤리적 소양을 갖추고 근거기반 간호를 실천하는 간호인재 양성이라는 교육목적을 수립하였습니다.

    2024년 보건복지부의 간호대학 실습교육 지원사업에 강원 유일로 선정되어 간호시뮬레이션교육을 강화하는 실습실과 장비를 구축하며 교육 혁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 통섭적
      지식을 갖춘
      간호인재 양성
    • 소통역량을
      갖춘
      간호인재 양성
    • 전문직관과
      윤리적 소양을 갖춘
      간호인재 양성
    • 근거기반
      간호를 실천하는
      간호인재 양성

    교육과정

    • 1 1학년 인간발달의 이해, 다문화의 이해, 해부생리학과 간호, 의사소통론, 병리학, 감염미생물과 간호, 간호학개론, 간호전문직과 리더십 이해
    • 2 2학년 의료와 정보, 간호영어, 간호과정, 성인간호학Ⅰ, 건강사정, 건강사정실습, 기본간호학Ⅰ,기본간호학실습Ⅰ, 생명윤리의 이해, 약리학, 성인간호학Ⅱ, 기본간호학Ⅱ, 기본간호학실습Ⅱ, 여성건강간호의 이해, 아동건강간호의 이해
    • 3 3학년 여성건강간호학Ⅰ, 아동간호학Ⅰ, 성인간호학Ⅲ, 정신간호학Ⅰ, 환경과 간호, 성인간호학실습Ⅰ, 여성건강간호학실습, 아동간호학실습Ⅰ, 시뮬레이션기초실습, 간호윤리와 환자안전, 건강증진과 보건교육, 정신간호학Ⅱ, 여성건강간호학Ⅱ, 아동간호학Ⅱ, 간호연구와 통계, 성인간호학실습Ⅱ, 시뮬레이션여성간호실습, 근거기반 여성건강간호실습, 아동간호학실습Ⅱ, 정신간호학실습Ⅰ, 지역사회간호학Ⅰ, 성인간호학Ⅳ, 응급간호
    • 4 4학년 성인간호학Ⅴ, 간호행정학Ⅰ, 지역사회간호학Ⅱ, 여성건강간호학Ⅲ, 아동간호학Ⅲ, 정신간호학Ⅲ, 노인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실습Ⅰ, 정신간호학실습Ⅱ, 시뮬레이션 통합실습Ⅰ, 간호상담, 사례기반지역사회간호, 종합실습, 성인간호학 실습Ⅲ, 시뮬레이션 통합실습Ⅱ, 간호행정학 실습, 지역사회간호학실습Ⅱ, 노인간호학실습, 간호행정학Ⅱ, 보건의료법규와 정책, 죽음의 이해

    졸업 후 진로

    임상간호사, 보험심사간호사, 연구간호사, 간호직, 보건진료직, 소방직 등 공무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각종 공공기관 취업, 보건관리자, 노인간호센터 창업, 미국 등 해외 간호사 취업, 대학교수 등

    면허증 및 자격증

    간호사, 보건교사, 조산사, 전문간호사, 정신건강전문요원, BLS provider 자격증 등

    선배들의 꿀TIP

    간호사라는 단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도전하는 만큼 많이 노력해야 돼.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과목
    일반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영어Ⅰ 화법과 작문 생명과학Ⅰ

    진로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생명과학Ⅱ 실용국어 고전과 윤리

    펼침닫기
  • 건강한 일상을 되찾아드립니다.

    물리치료학과

    전공상담


    전공상담 교수, 연락처, 메일주소 정보제공
    상담교수 연락처 메일
    김시현 033-738-7675 sihyunkim@sangji.ac.kr

    학과 성과

    “교수님과 함께하는 동아리” 상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 운영

    • 재활피트니스 : 재활피트니스 전문가 양성 및 자격 취득 프로그램
    • 다이나믹 테이핑 : 상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학생을 위한 다이나믹 테이핑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 스포츠 봉사지원팀 :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국가대표선수촌 연계 선수 의무지원

    2022년 한국보바스협회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대상 수상
    2020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현황 기준 물리치료학과 대학 취업률, 학과 평가 1위
    2013년 신설 이후 국가고시 합격률 평균 90% 이상 유지
    운동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을 위한 커리큘럼 운영
    지역사회물리치료를 위한 장애인복지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봉사활동 프로그램 운영

    학과소개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가 요구하는 최적의 보건의료 전문가 양성
    - 상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는 신체기능을 최적의 상태로 회복시키거나 유지, 증진할 목적으로 평가, 치료, 예방 및 건강증진 등의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의료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 상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에서는 융복합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 교육 시스템과 임상 실무 중심 교육, 다양한 공동체 활동과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보살필 수 있는 지성과 인성을 겸비한 물리치료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상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는 물리치료 전공별(근골격계 전문물리치료사, 신경계 전문물리치료사, 심혈관 및 호흡계 전문물리치료사, 스포츠 전문물리치료사, 아동 전문물리치료사, 노인 전문물리치료사 등) 우수 교수진을 통한 맞춤형 전문물리치료사를 양성합니다.

    교육과정

    • 1 1학년 물리치료학개론, 인체해부학, 근골격계해부학, 생리학, 장애아동의이해 등
    • 2 2학년 기능해부학, 병리학, 신경해부학, 기초물리치료진단학, 인체운동학, 물리적인자치료학 등
    • 3 3학년 근골격계물리치료학, 신경계물리치료학, 순환계물리치료학, 아동물리치료학, 스포츠물리치료학, 정형물리치료학 등
    • 4 4학년 노인및기타물리치료학, 운동계손상의진단및치료, 재활피트니스프로그램, 보건학 등

    졸업 후 진로

    • 의료기관 분야 : 대학병원, 종합병원, 재활병원, 의원, 보건소 등
    • 재활 및 요양 관련 분야 : 재활원, 장애인복지관, 실버타운, 요양병원 등
    • 스포츠관련 분야 : 스포츠구단 의무실, 운동처방실, 스포츠연구소 등
    • 산업보건 분야 : 산업체의 물리치료실, 의무실 등
    • 의료기기 분야 : 의료기 관련회사, 의료 및 보장구 관련회사 등
    • 교육 및 연구 분야 : 대학원 진학, 재활 및 보건관련 연구소, 의료기기 연구소 등
    • 외국진출 분야 : 외국병원 취업 및 대학원 진학

    면허증 및 자격증

    물리치료사 면허증, 인간공학기사 자격증, 운동발달재활 자격증, 재활필라테스 자격증, 생활 체육지도자 자격증, 스포츠 트레이너 전문가 자격증, 로봇재활 전문치료사 자격증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과목
    일반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영어Ⅰ 생명과학Ⅰ 화학Ⅰ

    진로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진로 영어 실용영어 -

    펼침닫기
  • 정확한 진단검사에는 임상병리사가 있습니다

    임상병리학과

    전공상담


    전공상담 교수, 연락처, 메일주소 정보제공
    상담교수 연락처 메일
    이성원 033-738-7684 sungwonlee@sangji.ac.kr

    학과 성과

    • 5년 연속 임상병리사 면허 국가시험 100% 합격 달성
    • 실무기반 동아리 운영

    학과소개

    임상병리학(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BMLS)과는, 의학과 과학을 접목한 의료융합학과입니다.
    즉,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각종 검사에 대한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과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의료지식을 응용함으로 생명과학, 기초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의료융합전문 신지식인을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21세기 힐링. 예방과 융합의 시대에 의ㆍ생명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유망학과입니다.

    교육과정

    • 1 1학년 화학의이해, 의학용어, 임상병리학개론, 세포생물학, 인체해부생리학 등
    • 2 2학년 생화학, 정도관리학, 법의학, 분자생물학및실험, 임상화학및실험 등
    • 3 3학년 임상병리사현장실습, 검사정보학, 임상미생물학및실험, 임상혈액학및실험, 조직검사학 및 실험 등
    • 4 4학년 임상생리학, 병리학, 진단세포학, 핵의학검사기술학, 진단분자유전학 및 실험 등

    졸업 후 진로

    • 의료분야 : 상급종합병원(500병상 이상 대학병원, 7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종합병원(100병상 이상 종합병원)지역 보건소(보건지소 포함), 대한적십자사 혈액원
    • 교육분야 : 대학원 진학(임상병리학, 의학대학, 약학대학, 기초과학), 해외 박사후과정 연수
    • 연구분야 : 질병관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립보건연구원, 국공립연구소, 기업 부설생명공학연구소, 병원부설 의학연구소,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기업분야 : 제약회사(영업부서, 연구부서), 글로벌 다국적기업(마케팅), 국내 의료기기회사(진단검사 시약 및 장비분야 마케팅)

    면허증 및 자격증

    임상병리사 면허증, 국제세포병리사, 미국 임상병리사(ASCPi),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자 면허증, 실험동물기술사, 위생사, 산업보건분석사, 생명공학기술사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과목
    일반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수학Ⅰ 영어Ⅰ 화학Ⅰ

    진로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화학Ⅱ 생명Ⅱ 진로영어

    펼침닫기
  • Open your occupation, Open your world!

    작업치료학과

    전공상담


    전공상담 교수, 연락처, 메일주소 정보제공
    상담교수 연락처 메일
    조선영 033-730-0797 csy22004@sangji.ac.kr

    학과 성과

    • 2024년 국가고시 합격률 100% 성취
    • 대한작업치료학회 캡스톤경진대회: 20, 21, 22, 23, 24년 연속 수상
    • 2024년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인지발달심리상담사 자격증 과정 이수 이수
    • 노인인지활동놀이지도사 자격증 취득
    • 한국수부치료학회 수부치료사 기본과정 이수

    학과소개

    건강한 사회를 꿈꾸는 재활치료 전문가 양성
    치료적 활동으로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 및 능동적 사회생활 참여하게 함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보건의료재활의 한 전문 분야임.
    고령화사회로 전환으로 질병이나 사고로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재활치료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작업치료사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음.
    수요가 증가하는 미래 유망직종 상위권 선정(한국직업전망, 고용노동부) / 인공지능 대체 불가 직업 30에 선정(https://start-at.tistory.com/134)

    교육과정

    • 1 1학년 작업치료학개론, 기초해부학, 작업치료학진로, 작업치료의학용어 등
    • 2 2학년 활동분석, 작업치료신경해부학, 재활학, 아동검사및평가 등
    • 3 3학년 신경계작업치료학및실습, 근골격계작업치료학및실습, 인지재활, 운전재활 등
    • 4 4학년 작업치료임상실습1, 2, 3, 4, 아동작업치료사례연구, 성인작업치료사례연구 등

    졸업 후 진로

    • 의료기관 : 대학병원, 종합병원, 재활병원, 정신병원, 요양병원 등
    • 공공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장애인고용공단, 근로복지공단, 도로교통공단 등
    • 교육분야 : 특수학교, 아동발달센터, 보조공학센터 등
    • 지역사회 : 장애인복지관, 보건소, 노인복지관, 치매안심센터 등
    • 기타 : 대학원 진학, 재활분야 연구원, 의료기기회사, 해외 유학 및 취업 등

    면허증 및 자격증

    작업치료사(보건복지부 국가면허증), 감각발달재활사(국가자격증)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과목
    일반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생명과학I 생활과윤리

    진로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실용영어 실용국어 생활과 과학

    펼침닫기
  • 보건계열

    계열소개

    보건계열은 제약바이오전공, 보건의료경영전공, 식품영양학전공, 언어치료전공의 4개의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학 후 한학기 동안에는 계열에 소속된 4개학과를 이해하고 체험하는 시간을 가지며, 1학년 2학기부터 전공을 학생이 선택하게 됩니다.

    펼침닫기
  • 건강한 삶, 혁신신약과 함께 합니다.

    보건계열 제약바이오전공

    전공상담


    전공상담 교수, 연락처, 메일주소 정보제공
    상담교수 연락처 메일
    황성희 033-738-7922 sunghhwang@sangji.ac.kr

    학과 성과

    • 2021년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선정 : 6년간 7억 2000만원 연구비 지원
    • 2022년 우수신진과제 선정 (양서영 교수) : 3년간 2억 8000만원 연구비 지원
    • 2023년 우수신진과제 선정 (나정현 교수) : 3년간 2억 8000만원 연구비 지원

    학과소개

    생명공학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약 산업과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산업을 포함하는 웰빙(wellbeing) 산업은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임
    제약바이오전공은 의ㆍ약학 및 생명공학 지식 및 핵심기술 습득을 위한 기초 및 전공 교육을 함
    제약, 바이오, 화장품, 기능성 식품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함

    • 의약학 기초

      전공 교육
    • 신약 생산 및
      품질관리를 위한
      제제공학 기술 접목
    • 생명과 연관된
      생명공학
      기술 접목
    • 의약품, 한방제제,
      기능성 식품 및
      향장품 산업 활성화

    교육과정

    • 1 1학년 약과건강, 제약공학개론, 생활속의화학 및 실험 등
    • 2 2학년 일반화학Ⅱ, 제제공학, 생화학, 유기화학개론, 기기분석학, 분석화학 및 실험 등
    • 3 3학년 약전학 및 실험, 유기의약품합성및실험, 유전공학및단백질공학실험, 기능성물질및향장품학, GMP및Validation, 병리학 등
    • 4 4학년 약리 및 약제학, 바이오센서및실험, 제약바이오종합설계 등

    졸업 후 진로

    • 국내외 제약회사 : 연구, 생산관리, 품질관리, 영업
    • 화장품 회사 : 연구, 생산관리, 품질관리
    • 기능성 식품회사 : 연구, 생산관리, 품질관리
    • 생명공학 및 건강기능식품 관련 연구소 및 회사
    • 국공립 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 특허청 등
    • 의료산업체, 대학원 진학 등

    면허증 및 자격증

    화학분석기사, GMP&밸리데이션 기술인,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구) 생물공학기사] 등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과목
    일반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생명과학Ⅰ 화학Ⅰ 확률과 통계

    진로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실용국어 실용영어 생명과학Ⅱ

    펼침닫기
  • 국민건강의 설계와 경영, 상지대학교 보건의료경영전공에서 시작합니다.

    보건계열 보건의료경영전공

    전공상담


    전공상담 교수, 연락처, 메일주소 정보제공
    상담교수 연락처 메일
    송현종 033-738-7910 hjsong@sangji.ac.kr

    학과 성과

    • 보건교육사, 병원행정사, 손해사정사, 건강보험사, 보험심사평가사, 의료기기RA, 위생사, 사회조사분석사 등 보건의료 분야의 다양한 자격증 취득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구성하여, 1인 1개 이상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음
    • 졸업 후, 공공기관, 보건직공무원, 병원, 민간보험회사, 의료기기회사 등 전공과 관련된 분야로 취업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대학원에 진학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음

    학과소개

    전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빠른 고령화와 신종감염병으로 인해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등 주요 보건의료 분야의 공공기관과 원주의료기기테크노벨리를 비롯해 의료기기단지가 위치하여 의료기기 산업의메카로 부상하고 있는 원주는 보건의료에 대한 전문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디지털헬스케어를 이끌어갈 역량을 갖춘 인재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상지대학교 보건의료경영전공에서는 이와 같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과과정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산학협력을 통해 수요자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교육과정

    • 1 1학년 공중보건학개론, 해부생리학, 의료서비스마케팅 등
    • 2 2학년 보건교육학, 의료인적자원관리, 기초의학용어, 병원사무관리, 병원및보건통계 등
    • 3 3학년 의료보험론, 보건교육방법론, 의료기기산업론, 의료경영실습, 보험청구심사실무, 의료기기인허가제도 등
    • 4 4학년 보건프로그램개발및평가, 보건행정론, 보건의료관계법규, 보건역학 등

    졸업 후 진로

    의료기관, 보건직공무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기회사, 민간보험회사, 보훈의료복지공단, 근로복지공단, 보건의료관련 국공립 연구소 등

    면허증 및 자격증

    보건교육사 3급, 의료기기 인허가(RA) 전문가, 위생사, 병원행정사, 전산회계, 손해사정사, 건강보험사, 보험심사평가사, 의료기기RA, 사회조사분석사,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등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과목
    일반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영어Ⅰ 사회문화 생명과학Ⅰ

    진로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실용영어 사회문제탐구 생명과학Ⅱ

    펼침닫기
  • 바른 먹거리로 건강한 미래를 만듭시다!

    보건계열 식품영양학전공

    전공상담


    전공상담 교수, 연락처, 메일주소 정보제공
    상담교수 연락처 메일
    이해영 033-730-0492 hy1317@sangji.ac.kr
    류혜숙 033-738-7641 rhs7420@sangji.ac.kr
    이승림 033-730-0790 uce2035@sangji.ac.kr

    학과 성과

    • 중등교사 임용시험 "영양교사" 합격 : 이○현 외 1명(2023), 이○민 외 2명(2022), 정○원(2024)
    • 영양사 국가시험 합격 : 이○섭 외 17명(2023), 강○일 외 14명(2022), 김○상 외 15명(2024)
    • 위생사 국가시험 합격 : 이○선 외 7명(2023), 홍○진 외 10명(2024)
    • 조리사 자격증(한식, 양식, 일식, 중식, 제과, 제빵), 식생활교육지도사 및 커피바리스타 등 민간자격증 취득
    • 캡스톤 디자인 경진대회 7년 연속 수상/식생활교육 매체경진대회 2년 연속 수상 / 학술대회 우수 학술 포스터상 4년 연속 수상

    학과 동아리 또는 소모임 소개

    • F&C(Food, Nutrition & Charming) : 실험/실습 결과로 소논문 작성, 연구활동 참여, 학술대회 발표 등의 활동
    • 미미(美味) : 새로운 아이디어로 개발한 간식 및 디저트 제품을 대학 축제 등에서 판매, 전공 관련 경진대회 참여 등의 활동

    학과소개

    보건계열 식품영양학전공은 1988년 신설되어 식품영양학 이론과 실습이 연계된 교육을 통해 1,5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학과입니다.

    식품영양학전공 은 인류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항상 탐구하고 실천하는 학문입니다. 이러한 취지에 맞게 식품영양학전공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 지원을 위한 영양학 분야, 식생활의 과학화에 필요한 식품학 분야, 급식관리체계의 효율화를 지향하는 급식경영학 분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학문은 건전한 식생활을 통한 건강사회 구현이라는 목표 하에 통합되어 있습니다. 또한 식품영양학전공은 화학, 생물학, 생명공학 등 기초학문의 토대 위에서 발전하는 종합과학으로서, 미래지향적인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교육목표

    • 식생활
      전문인
      육성
    • 식품
      전문인
      육성
    • 급식
      전문인
      육성

    교육과정

    • 1 1학년 계열기초
      기초영양학, 식품학

      보건계열공통
      건강과 식품영양
    • 2 2학년 식생활 전문지도 역량
      생화학(타과개설), 고급영양학 및 실험, 영양생리학(타과개설), 공중보건학(타과개설)

      식품개발ㆍ품질관리 역량
      조리원리 및 실습, 반효 미생물학 및 실험

      급식현장 실무역량
      식생활과 문화, 급식경영학
    • 3 3학년 식생활 전문지도 역량
      영양판정 및 실습, 생애주기영양학, 식사요법 및 실습

      식품개발ㆍ품질관리 역량
      식품가공 저장학, 식품위생학

      급식현장 실무역량
      단체급식 및 실습
    • 4 4학년 식생활 전문지도 역량
      임상영양학 및 실험, 영양교육 및 상담 실습

      식품개발ㆍ품질관리 역량
      식품영양분석 및 실험, 식품위생법규

      급식현장 실무역량
      영양사 현장실습

    주요 취업처 또는 진로분야

    대기업 영양사 및 병원 임상영양사,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 영양교사, 식품회사 QC 및 보건의료 관련 기업의 연구원, 식품위생직 및 보건직 공무원, 외식업체 매니저 등의 전문가

    관련 분야 취득 가능 자격증

    영양사 국가면허, 위생사 국가면허, 조리사(한식, 양식, 일식, 중식, 제과, 제빵) 자격증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과목
    일반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생명과학1 화학1 확률과 통계

    진로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사회문제탐구

    펼침닫기
  • 최상의 임상적 능력과 최고의 인성을 겸비한 의사소통 및 청각 전문가

    보건계열 언어치료전공

    전공상담


    전공상담 교수, 연락처, 메일주소 정보제공
    상담교수 연락처 메일
    박 현 033-730-0806 ph79@sangji.ac.kr
    최경순 033-730-0807 rance@sangji.ac.kr

    학과 성과

    • 제2회 한국언어재활사협회 언어치료 교재·교구 공모전 수상
    • 2022년, 2023년 공감 · 소통 · 나눔 콘텐츠 공모전 수상
    • 한국 언어치료학회 언어치료 실습 수기 공모전 장려상 수상
    • 제21회, 22회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대회 참여 및 포스터 발표

    학과소개

    언어치료전공은 말과 언어에 관련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대상을 진단하고 치료/중재하는 보건의료 재활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
    고령화 및 다문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의사소통 문제가 증가에 따른 언어치료사의 수요 급증
    의사소통능력의 더욱 요구되는 AI 시대에 대체 불가한 직업군
    전 세계적으로 미래 유망직종 최상위권에 선정
    언어재활사 2급(보건 복지부 주관) 취득

    교육과정

    • 1 1학년 언어기관해부생리, 의사소통장애개론
    • 2 2학년 말과학, 언어발달, 청각장애 언어재활, 신경언어장애, 심리학, 언어발달 등
    • 3 3학년 유창성장애, 언어발달장애, 조음음운장애, 언어재활관찰, 의사소통장애 진단평가 등
    • 4 4학년 언어재활실습, 언어재활현장실무, 음성장애, 학습장애 언어재활 등

    졸업 후 진로

    • 병원(종합, 개인) : 이비인후과, 신경과, 재활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소아정신과
    • 복지관 : 장애인 복지관, 종합 복지관, 노인복지관
    • 교육기관 :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 전문 및 통합 어린이집
    • 사설센터 : 언어치료(발달)연구소, 보청기센터
    • 기업 : 보청기 회사, 인공와우 회사, 의료기 회사
    • 진학 : 대학원 진학, 유학

    면허증 및 자격증

    언어재활사(국가자격증), 청능사, 보청기 관리사, 미술심리상담사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과목
    일반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생명과학Ⅰ

    진로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 가이드 - 1순위, 2순위, 3순위 정도
    1순위 2순위 3순위
    실용 국어 융합 과학 실용 영어

    펼침닫기